별 이야기(천체 관련 자료) 40

천체란 무엇인가? (구성하는 것들)

천체란, 우주 공간에 있는 물질로, 천문학이 연구의 대상이 된 것입니다. 지구 같은 혹성, 달과 같은 위성, 태양과 같은 항성, 항성이 다집합한 것이 은하 등이 대표적인 구성 요소이지만, 그 이외에 성간가스, 먼지 등도 포함됩니다. 혹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천체. 지구의 달, 화성의 포보스, 목성의 갈릴레오 위성, 토성의 타이탄 등 항성의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천체 중 핵융합하지 않고, 스스로는 빛나지 않는 비교적 질량이 작은 천체. 태양계에서는 금성, 지구, 목성, 토성이나 최근발견된 태양계 외 혹성 등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천체 중 중력 평형에 달하고 거의 둥근 모양을 하고 있지만 궤도상에서 땅의 천체를 배제하지 않는 천체. 명왕성, 에리스나 케레스 등 태양계에 속하는 천체 중 위성, 혹성, ..

쌍둥이자리 그리스 신화, 쌍둥이자리 찾는 법

겨울의 대표적인 별들이 화려하게 빛나 겨울 하늘에 마음을 빼앗길 만한 계절입니다. 겨울의 대삼각의 근처에는 아름답게 빛나는 2개의 밝은 형제애의 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12개 별자리의 이야기 중 하나인 쌍둥이자리의 이야기를 소개하겠습니다. ■ 깊은 슬픔 끝에 언제나 함께 있는 형제애의 별 쌍둥이자리의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두사람의 영웅 이야기입니다. 대신(大神) 제우스가 스파르타 왕비 레다를 사랑해 여러번 백조로 변신하여 레다를 찾아갔습니다. 두사람 사이에서 생긴 쌍둥이 형제는 카스토르와 폴룩스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사이가 좋았던 두사람은 이윽고 성장해 용감한 사람이 되어 전쟁에 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함께 전장을 누비며 많은 공을 세워가던 두사람이었지만 형인 카스토르는..

천체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달의 질량)

가깝지만 먼 달의 측량 가까워졌다가 멀어졌다가 주구의 주위를 돌고, 밤 하늘에 밝게 빛나는 달. 그 질량은 직접 재어본적은 없지만 약 7천경톤(경은 10의16승입니다)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대체 어떻게 쟀을까요? 17세기, 천체물리학자의 선구자로 불리는 캐플러는, 태양과 혹성의 궤도에 신기한 관계가 있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태양과 혹성의 거리(r)의 3승과 혹성의 공전주기(T)의 2승의 비는 어느 혹성이나 같습니다. 지구의 공전주기는 1년으로, 태양 사이의 거리를 1이라고 하면 r의 3승 나누기 T의 2승은 1. 한편 금성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를 1이라고 하면, r의 3승 나누기 T의 2승은 1. 한편 금성에서 태양까지의 거리는 0.72이기 때문에 공전주기는 0.62년입니다만 0.97로 거의 1입니다. 화성..

봄의 별자리, 목동자리에 대해

■목동자리 찾는 법 북두칠성의 숟가락의 손으로 쥐는 곳의 커브를 뻗어가면 오렌지색으로 빛나는 밝은 별이 다다릅니다. 이 별이 목동자리의 아크투르스입니다. 목동자리는 아크투르스에서 북쪽으로 넥타이 같은 형태로 별이 나란히 있는 별자리입니다. ■아크투르스 아크투르스에는 '곰의 파수꾼'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푸른곰좌를 따라가듯이 성공을 움직이는 점에서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별이 색깔도 오렌지색과 보리색입니다. 밝음은 1등성보다 밝은 0등성으로 별자리를 만드는 별로서는 3번째로 밝은 별입니다. 이것은 지구에서의 거리가 37광년으로 비교적 가깝고, 또 직경이 태양의 20배 이상이나 되는 커다랗고 밝은 별입니다. ■목동자리의 신화 돌이 된 '아틀라스' 그리스 신화에서 '목동자리'는 거인족인 아틀라스라고 알려져 있..

별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백조자리에 대하여

거문고자리 거문고자리는 푸르스름한 1등성 직녀성이 지표인 작은 별자리입니다. 직녀성 이외의 별은 어둡지만, 하늘 조건이 좋으면 작은 평행사변체에 별이 나란히 있는 것이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칠석의 직녀성으로 유명합니다. 한편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의 1등성인 알타이르로, 2개의 별 사이에는 칠석 전설인 강이 흐르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로 거리은 약 15광년입니다. 직녀성의 의미는 '떨어지는 독수리'이지만 알타이르에는 '하늘을 나는 독수리'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거문고자리의 직녀성과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 그리고 백조자리의 데네브를 묶어서 생기는 삼각형을 '여름의 대삼각'이라고 부르고, 여름의 별자리나 별을 찾는 지표입니다. 그리스신화에서는 거문고의 명수 오르페우스가 사용하고 있었던 악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별자리 궁수자리, 전갈자리, 천칭자리에 대하여

궁수자리 궁수자리는 탄생 별자리로서 알려져 있는 별자리로, 하늘의 강이 가장 진하고, 폭넓게 보이는 곳에 넓게 있습니다. 지표는 북두칠성과 닮은 숟가락과 같은 형태의 별의 모양입니다. 남쪽하늘 쪽에 있고 별의 수가 6개이기 때문에 '남두육성'이라고 불려집니다. '궁수'는 사수라는 의미입니다. 즉 활을 쏘는 사람입니다. 실제로는 상반신이 인간, 하반신이 말의 형태를 하고 있고. 활은 옆의 전갈자리를 향하고 있습니다. 궁수자리와 전갈자리의 경계 부근에는 하늘의 천은하(川銀河)의 중심 방향이 있습니다. 그 주변에는 별의 수가 굉장히 많고, 하늘의 강의 폭도 넓게 되어 있고, 하늘의 조건이 좋을 때는 육안으로도 확실하게 하늘의 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쌍한경으로 보면 시야 가득히 별이 흩어져있어서 매우 아름다..

별자리 안드로메다, 카시오페아, 오리온에 대해서

안드로메다자리 '안드로메다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안드로메다 공주의 별자리입니다. 2등성인 알페라츠는 안드로메다 공주의 머리에 위치하는 별이지만 그 의미는 '말의 배꼽'입니다. 옛날에는 옆에 있는 페가수스자리인 별이기도 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되었습니다. 또 발쪽에 빛나는 2등성 별인 알마크는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노랗게 보이는 별과 파랗게 보이는 별이 같이 나란히 보이는 이중성(二重星)입니다. 알파벳 A형태로 별이 나란히 있습니다. 2등성이 몇개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찾기 쉽고 알기 쉬운 별자리입니다. 안드로메다 공주의 허리 쪽에는 '안드로메다좌 대은하'라고 하는 유명한 은하가 있습니다. 약 230만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커다란 와권은하로 형태가 갖춰진 커다란 은하로서는 우리들이 사는 하늘의 천은하..

천체 망원경을 사용하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것들

망원경이 발명된 것은 1608년, 네달란드의 안경 조제사인 한스 리퍼세이(Hans Lippershey)로 알려져있습니다. 렌즈와 렌즈를 두개 겹쳐보니 멀리 있는 게 아주 잘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된 리퍼세이는 두개의 렌즈를 양 끝 부분에 붙여 굴절 렌즈를 만듭니다. 세계에서 최초로 천체를 관측한 것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입니다. 갈릴레오는 1609년말부터 1610년에 걸쳐서 자기가 만든 망원경으로 달의 표면을 관측하고, 그 스케치를 '성계(星界)의 보고'라는 책으로 정리했습니다. 천체망원경을 사용하고 처음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사람들이 늘 하는 말은 '보고 싶은 별이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천체망원경의 시야(보이는 범위)는 배율이 높은 것일 수록 좁아집니다. 망원경을 눈에 대고 하늘을 향해도 보이지..

천체 망원경, 사고 나서도 중요!

지난 편에 이어 추가적으로 더 알려드릴 것을 정리해봤습니다. 천체 망원경을 사기 전 참고해주세요. 바로는 사용할 수 없다! 천체망원경은 사서 바로 쓸 수는 없습니다. 천체망원경을 상자에서 꺼내서 바로 보고 싶은 별을 보는 건 우선 안됩니다. 밤하늘에 원하는 곳에 정확하게 망원경을 가게 하기 위해서 꽤 연습이 필요합니다. 물론 '보고 싶은 별이 어디 있는지' 조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자동으로 별을 향해주는 망원경도 많아졌지만 시계를 정확하게 맞추거나 최초 기준의 별을 향하게 하는 데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물론 사용한 후의 관리도 필요하고, 자리도 많이 차지합니다. 천체 망원경은 애완동물과 같이 끈기 있게 돌봐주는게 필요합니다. 산 다음 날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는 분도 계시더라구요. 사실 중요한 ..

천체망원경 고르는 법! 망원경 사기 전에 꼭 알아두자

'천체망원경'은 별을 보는 기계다, 라고 모두 알고 계시겠지만 실제로 사용해본 적이 있거나 사용하는 사람이 주변에 있는 분은 거의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천체 망원경은 왜 사는 걸까요? 하나의 만능 천체 망원경은 없습니다. 여러 종류가 있어요. 여러분은 천체 망원경으로 뭘 하고 싶으신가요? 자동차를 상상해보세요. '엔진이 있고 타이어가 4개 있는 운송수단'이지만 경차부터 스포츠카까지 아주 많은 종류가 있죠? 자동차를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서 필요한 성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천체망원경도 '토성을 자세히 보고 싶은 망원경'과 '어떤 성운이 보이는 망원경'과 '토성의 사진을 찍기 위한 망원경', '어떤 성운의 사진을 찍기 위한 망원경' 은 다릅니다. 하나의 망원경으로 전부 다 되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천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