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달이나 토성, 화성 등 멀리 떨어진 별을 관측하는데 편리한 '천체망원경'. 어른의 취미는 물론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의 자유 연구에도 사용됩니다.
그러나 초보자도 취급하기 쉬운 굴절식이나, 본격적인 관측을 할 수 있는 반사식 등의 종류가 있기 때문에 구입할 때 어떤 것을 고르면 좋을지 고민하기 쉽습니다.
<천체 망원경으로 무엇을 볼 수 있을까?>
천체 망원경을 사용하면, 육안으로는 희미하게 밖에 보이지 않는 천체를 확실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관찰할 수 있는 별은 천체 망원경의 배율에 따라서 다르지만, 달 토성 금성 수성 화성 등을 보는 것이 가능합니다. 지구를 돌고 있는 달에 관해서는 크레이터도 확실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성운이나 성단을 볼 때도 천체망원경을 사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나 오리온 성운에 더해 혜성 등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천체 망원경의 구조>
천체망원경은 경통, 가대, 삼각 이 세가지를 조합하여 이루어집니다.
'경통'은 천체 망원경의 통 부분입니다. 렌즈나 반사경 등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삼각'은 카메라에 사용되어지는 것고 같이, 경통을 안전하게 지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파즈입니다. '가대'는 삼각에 경통을 다는 데 사용합니다.
또 경통의 끝에는 망원경의 배율을 변경할 수 있는 '접안 렌즈'를 갖춥니다. 경통의 안쪽에는 보고 싶은 대상에 맞춰 시계(視界)에 붙잡아두는 작은 망원경 파인더를 갖춥니다.
728x90
반응형
'별 이야기(천체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체 관측의 요령과 매너 (0) | 2022.10.14 |
---|---|
2022년의 목성과 토성 (0) | 2022.10.07 |
생일 별자리는 어떻게 정해졌을까? (0) | 2022.09.12 |
별자리의 움직임, 사계절의 별자리 (0) | 2022.09.05 |
목동자리, 바다뱀자리 (0) | 2022.09.01 |